업종확인
사업을 하려는 업종이 과세업종인지 면세업종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과세 업종인지, 면세 업종인지는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시는 사업이 과세인지 면세인지를 먼저 체크해주세요. 면세업종은 법률상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나열되어 있는 면세업종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과세업종입니다.
사업자의 유형
사업자의 유형을 먼저 결정해야 합니다.
개인 또는 법인
개인이 과세사업을 한다면 일반사업자와 간이과세자 , 개인이 면세사업을 한다면 면세사업자
법인이 과세사업을 한다면 일반사업자 법인이 면세사업을 한다면 면세사업자가 됩니다.
허가등록 신고업종 확인
허가 등록 신고 업종일 경우 사업자등록 신청 시 허가증 등록증 신고 필증의 사본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약국, 음식점, 학원 등 허가 신고 또는 등록을 하여야 하는 업종인 경우 관련 인허가기관으로부터 면허 허가등을 받아야 합니다.
공동사업자라면
공동사업을 할 경우 동업계약서등의 서류를 작성해야 합니다.
2인이상이 공동으로 사업하는 경우 1인을 대표자로 선정하고 공동사업임을 증명할 수 있도록 동업계약서를 작성해서 사업자등록시에 제출해야 합니다.
업종코드 허가등록업종 확인 홈택스를 통해 확인하기
! 업종코드가 중요 (업종이 면세인지, 과세인지, 인허가 업종인지 헷갈린다면?) _출처: 홈택스
홈택스에서 업종코드를 확인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① 전체업종코드는 [신청/제출] 클릭 >[사업자등록신청/정정등] 클릭 >[업종조회]에서 업종코드-표준산업분류 연계표(엑셀) 파일을 내려받고 확인가능합니다.
② [신청/제출] 클릭 >[사업자등록신청/정정등] 클릭 > [업종조회] >업종코드 혹은 업종의 검색 클릭 > 업종에 관련된 단어를 입력하여 검색 후 [적용범위 및 기준]을 확인해보시고 근접한 코드를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정정신청 또는 면세사업자 과세겸업시 사업자등록신청을 한다면 업종코드 선택 후 확인되는 업태명, 종목명은 편집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업종/업종 코드가 맞는지 판단이 되지 않을 때에는 [업종선택] 아래 사업에 대한 설명을 추가로 입력하시면 필요시 세무서 담당자가 적합한 업종으로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③ 해당 업종코드가 인허가사업인지 여부는 [신청/제출] 클릭 >[사업자등록신청/정정등] 클릭 >[인허가서류조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인허가 사업이라면 관련된 서류가 확인됩니다. 인허가증과 관련한 문의는 [인허가사업 제출서류 조회]팝업창에서 확인되는 접수기관으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